본문 바로가기

대치동아재의 프라이빗_노트/대치동아재 이야기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미래

728x90

요즘 모든 매체를 통틀어 가장 많은 언급되는 단어 중의 하나는 4차 산업혁명이란 말일 것입니다.

4th generation

18세기 증기기관 기반의 기계화 혁명을 제1차 산업혁명으로, 20세기 초 전기 에너지 기반의 대량생산 혁명을 제2차 산업혁명으로, 20세기 후반 컴퓨터와 인터넷 기반의 지식정보 혁명을 제 3차 산업혁명으로 규정할 수 있다면 제4차 산업혁명은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요?

4차 산업혁명용어는 2016년 세계 경제 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언급되었으며, 정보 통신 기술(ICT) 기반의 새로운 산업 시대를 대표하는 용어가 되었습니다. 컴퓨터,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제3차 산업혁명(정보 혁명)에서 한 단계 더 진화한 혁명으로도 일컬어집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 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되어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이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4차 산업혁명기에는 인공 지능(AI), 사물 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 지능정보기술이 기존 산업과 서비스에 융합되거나 3D 프린팅, 로봇공학,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 여러 분야의 신기술과 결합되어 실세계 모든 제품·서비스를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사물을 지능화하게 됩니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은 초연결(hyperconnectivity)과 초지능(superintelligence)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 산업혁명에 비해 더 넓은 범위(scope)에 더 빠른 속도(velocity)로 크게 영향(impact)을 끼칩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한다면 우리 아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를 교육제도와 관련해서 잠시 고민해 보았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가장 편하고 친숙한 설명법으로 거론되는 인공지능 로봇, 드론, 무인자동차, 3D프린터, 사물인터넷 등 성큼 우리 주변을 점령한 기술은 우리 사회와 경제를 근본적으로 바꿀 것으로 보입니다. 그들은 편리함, 안전성, 생산성 향상이라는 많은 이점을 주고 있지만, 마음 한편 깊은 우려를 자아내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미래학자 토마스 프레이는 2030년까지 지구 상의 기존 일자리 절반이 사라질 거라고 예견했습니다. 정부 역시 이미 고용이 점차 사라져 가는 금융, 언론 분야의 문제가 전 산업 분야로 확대되리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드론은 택배기사와 같은 물류의 많은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고, 무인 자동차는 택시기사 버스기사 자동차보험 교통경찰을 사라지게 할 것입니다. 롤프 엔센은 그의 저서 드림 소사이어티에서 인간의 근육은 로봇이, 머리는 인공지능이 대체할 거라고 수십 년 전에 이미 예견했습니다.

물론 미래는 사라지 손해만 갖고 오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로봇과 인공지능은 생산성을 현격히 향상시켜 우리에게 더 많은 공산품과 농산물을 제공해 주고, 사회를 더욱더 안전하게 하며, 사용하는 모든 서비스를 더욱더 편리하게 해 줄 것입니다.

한편 또 다른 미래사회는 머리가 좋은 것도, 열심히 하는 것도, 힘이 센 것도 통하지 않는 전혀 새로운 사회일지도 모릅니다. 이렇듯 인공지능, 로봇과 같은 기계가 지배하는, 이에 따라 고용이 사라지는 미래를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 가는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이슈가 아닐 수 없습니다.

잭슨 브라운 주니어는 성공의 21가지 법칙에서 내가 잘하고, 내가 좋아하는, 내가 이 일을 할 때 시간 가는 줄 모르는 그런 직업을 찾는 것이 '성공'의 길이라고 이야기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공이 높은 지위나 많은 재산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만약 어떤 직업이 5년 내 사망할 확률이 20%라면 아무리 그 직위가 높다 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기피할 것입니다. 그것은 바로 대통령이라는 직업입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두 재벌가 사람들의 놀랄만한 자살률은 돈이 성공과 행복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는 교훈이 충분히 되고도 남습니다.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우리나라의 초, , 고 교육과 대학 교육은 이렇게 개개인의 행복을 위해서 조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1세기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사는 우리 개개인은 당당히 행복추구권을 주장해야 합니다. 이제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우리가 잘하는 일을 통해서 일의 즐거움을 느껴야 하고 행복을 추구해야 합니다. 핀란드나 노르웨이 같은 국가들이 행복지수가 높은 것은 아마도 개개인의 적성에 맞는 직업의 적합성과 이를 뒷받침해주는 선진교육시스템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국민이 행복해야 국가가 경제, 사회, 문화적 선진국이 될 수 있습니다. 국민의 행복과 국제적 경쟁력은 같은 데서 나오며 이는 결국 교육에서 시작돼야 합니다. 앞으로 우리의 초, , , 대학의 교육은 여기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며, 당연히 대학입학전형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갈 길이 너무 멀고, 이로 말미암아 자신의 밥그릇을 빼앗길 우려가 큰 기득권자들의 저항이 너무 거셉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