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입시소식/대입

검정고시와 코로나

728x90

고등학생, 심지어 중학생 학부모님에게서조차 학교를 그만두고 검정고시를 선택하는 것이 어떨지에 대한 상담문의를 받곤 합니다.

 

의아해하시는 분도 있으리라 여겨지지만, 중학교 때 이미 자퇴하고 중고등학교를 모두 검정고시로 패스한 후 조기에 대입을 치르는 학생들이 존재하며, 이것을 컨셉으로 운영하는 기숙학원도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실제 서울대 정시모집에서 검정고시생 합격 비율이 2019학년도에는 1.4%였는데 2020학년도에는 3.5%2배 이상 상승했습니다.

 

정시 확대에 코로나19까지 겹치며 검정고시를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이 증가했습니다. 검정고시로 대입 지원자격을 조기에 확보해놓고, 수능 과목에만 집중한다는 전략입니다.

 

교육통계서비스에 공시된 학업 중단 학생 현황 자료를 보면 20183월부터 20192월까지 고등학교를 자퇴한 학생은 총 24,101명이고, 이 중 부적응이 6,968, 기타 12,128명인데 이들 중 상당수가 대입 목적으로 학교를 자퇴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2019년 고졸 검정고시 응시자 중 10대 청소년이 29,659명으로, 고졸 검정고시 응시자 중 10대 청소년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공교육에 대한 실망감, 수시 준비의 복잡성, 정시 확대, 그리고 코로나까지 겹치며 검정고시생은 더 증가할 가능성이 큽니다.

기존에는 고등학교 진학한 후 내신 성적이 안 좋아 궁여지책으로 검정고시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앞으로는 처음부터 검정고시를 택하는 아이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검정고시가 코로나 세대의 새로운 입시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입니다. 어차피 학교도 제대로 못 가고, 혼자 공부해야 한다는 셈법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이 너무 발 빠르게 움직이는 것일까요, 아니면 용기가 필요한 선택지를 선택하는 것일까요? 만약 제게 선택을 강요한다면 저는 검정고시를 통한 방법을 선택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제 인생 너무나 소중한 친구, 평생을 내 편이 되어 준 친구를 중고등학교 시절 사귀었기 때문입니다.

불합리하고 부당한 제도에 견디거나 저항하는 힘을 키울 수 있었고, 단체생활을 통한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배웠기 때문입니다.

 

검정고시를 통한 전략적인 방법으로 포장된 그 길에는 그런 인연이, 배움이 있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나이가 들어서, '또는' 또는 '그리고' 심신이 약해져서 이런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