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32) 썸네일형 리스트형 入學査定官... 예전에 제가 입학사정관 출신의 자칭 ‘입시전문가’라는 사람의 행태에 대해 신랄히 비난한 적이 있습니다. 조금 과하다 싶을 만큼 감정이 격해진 상태로 작성한 글이라 후회되는 점도 조금 있지만 저의 기본적인 생각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오늘은 좀 더 감정을 추스르고 객관적인 팩트에 기반해서 입학사정관제를 조명해 보도록 하겟습니다. 학종에 대한 다양한 비판적 내용들 – 정성적 평가의 공정성문제, 대입준비와 정보의 형평성문제, 학생부기록과 관련한 허위과장의 문제, 학생과 교사, 학부모들이 감내해야 하는 부담감과 고통 등 – 은 실제 많은 부분이 사실이라는 점에서 뼈아픕니다. 10년은 꽤 긴 시간입니다. 2007년 10개 대학이 입학사정관을 채용해 학생 선발에 나선 이래 벌써 강산도 변하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 2022학년 서울대 신입학생 입학전형 예고 서울대는 5월 30일 '2022학년 대학 신입학생 입학전형 예고'를 발표했습니다. 이 내용 중에는 20222022 대입에서 자연계열에 수학/과학 선택과목을 지정했다는 것이 있습니다. 좀 더 앞서 상위 사립대가 공개한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계열 모집단위에 응시하려면 수학은 미적분/기하 중 택 1 하고1 과탐을 응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문이과 칸막이 없는 지원은 불가능하게 된 셈입니다. 서울대가 같은 날 공개한 ‘2021학년 대학입학전형 주요사항’에 따르면 정시 모집인원은 2020학년 684명(21.5%)에서 2021학년 736명(23.2%)으로 늘었습니다. 2022 대입개편의 결과로 2022학년까지 정시 비중을30%까지 확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대신 수시에서 일반전이 1.7% 줄고, 지균은 23... 검사가 되고 싶어요 저의 어린 시절, 그리고 20대까지의 장래 희망이 대한민국 검사(檢事)였습니다. 사법고시 공부를 한답시고 신림동 고시원에 박혀서 금쪽같은 청춘을 지냈습니다. 후회는 않습니다만 합격하지 못하여 자신의 꿈을 이루지 못함에 대한 아쉬움은 내내 남습니다.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은 법률가를 양성하기 위한 3년 과정의 전문대학원입니다. 2009학년 첫 신입생을 선발했고, 2017년 사법시험이 폐지되면서 현재 법조인이 될 수 있는 유일한 관문이 되었습니다. 총 정원은 2000명으로 전국 25개 대학에 설치돼 있습니다. 올해 전국 25개 법학전문대학원 가운데 서울대 등 7개교가 입학전형의 평가요소별 점수를 일부 변경했습니다. 서울대는 1단계 서류 정성평가 비중을 20%가량 증가시켰으며, 서강대는 어학성적 반영을 Pas.. 서울대를 학종으로 가고 싶으세요_2nd 서울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안내서 두번째 이야기입니다. 학종의 첫 번째 단계는 서류평가입니다. 즉 학생부, 자소서, 추천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현재 서울대에는 26명의 전임입학사정관과, 각 대학 교수로 구성된 약 110명의 위촉입학사정관이 선발과정에 참여하고 있고, 평가단계별로 다수 평가자가 참여하므로 개인의 주관에 따라 평가가 이뤄지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고 자신합니다. 서류평가과정에서는 한 종류의 서류나 항목만으로 학생을 평가하지 않으며 학생부 자소서 추천서 내용을 모두 반영한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학업능력, 자기주도적 학업태도, 전공분야에 대한 관심, 지적 호기심, 창의적 인재로 발전할 가능성 등을 평가하게 됩니다. 평가서류별 반영비율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학생부에서도 특정 부분만.. 서울대를 학종으로 가고 싶으세요? 서울대학교는 ‘2020학년 학생부종합전형 안내’ 책자를 입학본부 홈페이지를 통해 5월 23일 공개했습니다. 이것은 입학전형의 꽃이라고 불리는 학생부종합전형... 그 중에서도 모든 대학 전형의 모델이 된다는 서울대학교의 학종 관련 정보를 총망라한 자료인 만큼 서울대 학종을 대비 중인 수험생과 학부모님이라면 반드시 읽어봐야 할 자료입니다. 안내서는 아로리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쉽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안내서의 내용을 요약하여 전달해 드리고, 이에 대한 소견도 조금 첨부하는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이와 관련된 양이 많아 2~3회에 나누어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서울대는 학종에 대해 “수치로 계산된 성적만을 반영하지 않고, 지원자가 제출한 서류를 바탕으로 학업능력뿐만 아니라 학업에 대한 노력, 의지, 열정.. 아직도 소논문에 기백만원씩 투자하시나요? 제 주변에는 여전히 특목고 진학 희망자들을 대상으로 소논문... 운운하면서 몇 백만 원씩 요구하는 컨설팅이 횡행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그러지 마십시오. 소논문은 R&E(research and education)와 거의 동의어로 쓰이곤 하는데, 탐구능력이나 전공적합성을 보여주기 위해 작성하는 일종의 논문 보고서 형식의 비교과를 이름입니다. 소논문이 핫한 이슈로 등장하게 된 배경은 입학사정관제에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바뀌면서 추가 서류 제출이 가능한 시기가 있었고, 이 시기에 영어나 경시대회 같은 공인인증 성적을 제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과고나 외고에서 학생이 스스로 작성하는 논문형태인 소논문을 제출하여 그 덕을 본 많은 사례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향후 소논문의 가치는 어떻게 될지에 대한 질.. 스스로에 대한 유감 지금은 작고하신 저의 둘째 삼촌은 술을 좋아하는 호인(好人)이셨지만, 말로써 상대하기 힘든 분이셨습니다. 자신의 전(全) 방위적인 열등감을 ‘조선일보’라는 일간지 하나로 완벽하게 커버하시려던 분이었습니다. 어떤 주제에 대해서도 막힘이 없고, 거기에 더해 거침이 없었습니다. 반박은 용납하지 않으셨습니다. 당신의 말에 토(吐)라도 달라치면 ‘조선일보에서 어떻다... 고하는데 네가 무슨 말도 안 되는 소리냐?’라는 식이었습니다. 두 세 마디 말을 더 진행한다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벽을 대하는 느낌이었습니다. 어떻게 하려해도 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 분의 말은 항상 그 상황 상황에서는 옳다고 치부하고 넘어가곤 했습니다. 그럴 수 있다고 여겼습니다. 한글만 겨우 깨치신 분이셨고, 하루하루를 치열하게 살아가.. 영재학교 비판 영재학교에 합격하기만 하면 만사형통일까요? 합격한다고 무조건 장밋빛 미래가 보장되는 게 아니라 엄연히 합격 후에도 같은 합격생들과 경쟁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입학해서 학습할 내용을 미리 학습시킨다고 합격 후에도 학원 뺑뺑이를 도는 학생들이 상당수입니다. 특히, 한국과학영재학교 등 일부 학교는 교과서가 원서이므로, 자녀들이 적응하지 못할 것을 우려한 다수 학부모들이 학생들을 학원으로 밀어넣습니다. 특히 수도권 학생들이 이런 경향이 강한데 그 이유는 우선 수도권 학생들은 어릴 때부터 학원 만능주의에 길들여진 경우가 많은 데다가, 실제로 영재학교 교육과정을 선행하는 학원은 거의 대치동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영재교육마저 사교육에 의존한다는 점에서는 분명 부정적인 현상이지만 대안이 없는 것도 사실입니다. 당장 학..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67 다음